얼마 전, 종합소득세 정기신고 기간이 종료되었어요. 이 말을 달리하면, 기한 후 신고 스케줄이 시작된 것인데요.📝 5월에 신고하는 것을 놓친 분들은 얼마나 빠르게 움직일 예정이신가요? 혹시 이왕 늦었으니 여유롭게 처리할 생각이라면, 이 글을 읽고 한 번 더 생각해 보세요.💭
원칙적으로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는 관할 세무서장이 납세자의 과세표준, 세액을 결정해 통지하기 전까지만 하면 가능하죠.
하지만 어디까지나 '가능'하다는 이야기일 뿐, 절세를 따지려면 다른 시각으로 바라봐야 한답니다.😶🌫️ 우선 기한 후 신고를 서둘러야 하는 까닭이 무엇인지부터 말씀드릴게요.
😱기한 후 신고자가 부담하는 가산세 종류
종합소득세 신고와 관련한 가산세는 단순 나열만 해도 10종류가 거뜬히 넘어갑니다. 그중에서 기한을 넘겨 신고를 하는 경우를 따로 안내해 드리자면, 무신고가산세와 납부지연가산세가 있겠네요.
✍🏻무신고가산세액 계산
(복식부기의무자의 일반무신고) 무신고 납부세액 x 20% or 수입금액 x 0.07% 중 큰 값 |
일단 기한 후 신고를 하는 시점에서 무신고가산세는 피하기 어려워요. 법정신고기한을 넘겨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이들에게 붙는 페널티이니까요.🟨
✍🏻납부지연가산세액 계산
*경과일수 계산은 납부기한 다음날부터 자진 납부일(또는 납부고지일)까지 |
납부할 세액이 있음에도 법정신고기한 내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았으면, 이에 대한 가산세도 부과된답니다. 납세자 입장에서는 납부할 세액이 발생할지 모르는 상태에서 단순히 신고 일정만 늦을 뿐인데 억울하다고 느낄 수 있어요.😭
그러나 정기신고 기간인 5월 한 달 안에 신고를 했다면 납부 세액이 있었다는 사실을 충분히 인지할 시간이 있었죠. 따라서 납부지연 가산세도 책임져야 해요.
📢소액인데.. 하지 말까? Nope, 꼭 신고하세요!
☝🏻환급금이 없는 경우
5월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하지 않았고 돌려받을 세금이 없는 경우에는 무신고 가산세와 납부지연가산세가 적용됩니다. 가산세액이 결정되는 공식으로는 체감이 크게 되지 않을 거예요. 간단하게 예시를 들어 비교해 볼까요?👉🏻
1️⃣정기신고자 김점삼 씨(납부세액 36만 원) |
🔹신고 시 납부세액(=최종 납부세액): 360,000원 |
2️⃣20일 만에 기한 후 신고, 박신속 씨(납부세액 36만 원) |
🔹무신고가산세: 360,000원 x 20% = 72,000원 가산세 감면율(50%) 적용, 최종 무신고가산세: 36,000원 🔹납부지연가산세(미납): 360,000원 x 20 x 0.022% = 1,584원 🔹가산세 포함 총 납부세액: 360,000원 + 36,000원 + 1,584원 = 397,584원 |
3️⃣4개월 만에 기한 후 신고, 정늦음 씨(납부세액 36만 원) |
🔹무신고가산세: 360,000원 x 20% = 72,000원 가산세 감면율(20%) 적용, 최종 무신고가산세: 57,600원 🔹납부지연가산세(미납): 360,000원 x 120 x 0.022% = 9,504원 🔹가산세 포함 총 납부세액: 360,000원 + 57,600원 + 9,504원 = 427,104원 |
납부세액은 같지만, 가산세 적용 여부가 다른 세 명의 사례로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신고가산세는 감면이 된다는 점이에요. 기한 후 신고를 최대한 빠를수록 효과는 높아집니다.
1개월 이내에는 감면율이 50%에 달하거든요. 사실상 실제 무신고가산세는 납부세액의 10%로 확 줄어든답니다.📉
1개월 초과~3개월 이내의 경우 감면율 30%, 3개월 초과~6개월 이내는 20%예요. 단, 6개월이 넘어가면 가산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없어요.
✌🏻환급금이 있는 경우
환급금이 있는 납세자도 서둘러야 하는 이유는 있어요.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요구하지 않은 환급은 자동으로 진행되지 않으니까요.
또, 정기신고와 달리 비정기적으로 신청이 들어오면 처리가 시작되는 사안이므로 환급까지의 시간도 더 많이 소요되는 편이에요. 5월 정기신고를 한 분들은 한 달 이내, 즉 늦어도 6월이면 세금을 돌려받지만, 기한 후 신고는 최대 3개월가량 걸리기도 한답니다.⌛
소액이라도 소득 신고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땐 소득 증명이 필요한 경우에 무척 곤란해져요. 절세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더라도 결국에는 오롯이 나의 불이익이 될 수 있죠.
🏃🏻♂️환급? 납부? 모두 기한 후 신고 서두르세요!
납부세액이 많은 납세자는 가산세를 줄이기 위하여 최대한 서둘러야 하고, 환급 세액이 발생하는 분들은 최대한 빨리 돌려받으려면 기한 후 신고를 서두르는 게 최선이에요.
그렇다고 부랴부랴 준비하다가 신고 내용이 잘못되면 또 문제가 될 텐데요. 그렇기 때문에 한 번 할 때 꼼꼼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직접 계산했을 때는 환급을 받는 줄 알았는데, 알고 보니 납부세액이 있다면 가산세를 면하기 힘들거든요.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는 정기신고처럼 신중하게 그리고 발 빠르게! 이 두 가지만 기억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