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하면 좋은 이유 3가지 종합소득세 신고란? 과세표준 구간에 해당하는 세율을 적용하고 공제액은 빼서 나온 세금을 신고하는 것! 이렇게 개념만 떼어 놓고 보면 종합소득세 신고가 어려울 이유는 딱히 없는 것 같아요. 내가 1년 동안 번 돈이 얼마인지 신고하고, 낼 세금이 얼마인지만 계산하면 되니까요. 다만 파고들수록 복잡해지는 것까지 잊으면 안 돼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합소득세 신고는 아무 때나 한들 별 걱정이 아니라고 넘기는 분들도 많아요. 신고 과정이 귀찮고 복잡하더라도 어차피 삼쩜삼이 있으니까 괜찮다고 말이죠. 이런 생각, 오답은 아니지만 100점 역시 될 수 없어요. 우선 '삼쩜삼으로 종소세 신고를 빠르고 쉽게 끝내면 된다'라는 발상은 완전 맞는 이야기예요. 그러나 '신고는 아무 때나 해도 걱정이 아니다'라는 생각은 위험합니다. 결코 별 차이가 없는 게 아니니까요.🥲 ✔️5월 정기 신고를 추천하는 이유❓ 삼쩜삼의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를 이용한 분들의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데요. 놓친 세금을 그것도 과거 5년 동안의 내역을 모두 훑어보고 간편하게 돌려받을 수 있었거든요.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 신고 대상 소득을 해당 연도의 다음 해 5월에 확정신고하는 것 ✅종합소득세 기한 후 신고: 법정신고기한을 넘긴 후 소득을 신고하는 것 이왕 경험한 이상 앞으로 매년이 아닌, 5년마다 소득 신고하면 되지 않냐고 반문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요. 그 마음은 이해하면서도 1년마다 돌아오는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 기간을 준수하라고 권하고 싶어요.💁🏻♂️ 그것도 여러 이유 때문이랍니다. 총 세 가지의 근거를 들어볼게요. 하나, 빨리 환급받고 싶으니까!🤲🏻 정기 신고나 기한 후 신고나 종합소득세를 신고한다는 점을 일치해요. 그러나 정기 신고는 1년 동안의 신고 대상 소득을, 기한 후 신고는 5년 동안의 전 내역을 신고하는 차이가 있고요. 문제는 환급액이 발생했을 때 처리되는 데 걸리는 시간은 확연하게 다르다는 부분이에요. 매년 5월에 진행되는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를 확정신고라고도 불은 이유는, 납세자가 신고를 하는 것만으로 바로 확정되기 때문인데요. 반면에 기한 후 신고는 신고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확정된답니다.⌛ 기한 후 신고가 최대 3개월, 즉 3배나 더 시간이 걸리는 까닭은 상시적으로 받은 세금 신고이기 때문이에요. 오히려 5월과 겹쳐서 기한 후 신고를 할 경우 각 세무서의 인력이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 업무와 뒤섞여 더 지연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둘, 기한 후 신고가 불가능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기한 후 신고는 5년 치 세금을 신고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이지만, 정기 신고를 아예 대체할 만큼의 제도는 아니에요. 어디까지나 법정신고기한을 준수하지 못한 납세자의 편의를 고려해 도입된 보완책일 뿐이죠. 🪙국세기본법 제45조 3(기한 후 신고)에서도 이런 점을 확실히 했는데요. 전체 텍스트로 확인해 볼게요.🔎 법정신고기한까지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자는 관할 세무서장이 세법에 따라 해당 국세의 과세표준과 세액(이 법 및 세법에 따른 가산세를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결정하여 통지하기 전까지 기한 후 과세표준신고서를 제출할 수 있다. 기한 후 신고 대상이 되는 소득이 최근 5년 동안의 미신고 소득인 것은 맞아요. 하지만 국세기본법에서도 설명하듯 관할 세무서장이 세법상 납세고지를 한 이상 신규로 기한 후 신고를 할 수는 없답니다.🚫 과거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는 데에 체납 세금이 결정되어 통보받았다면, 과세관청의 납세고지가 끝난 셈이에요. 셋, 가산세를 피하기 위해서💸 많은 분들이 알고 있고, 정기 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라고 하면 가장 쉽게 떠올리는 이유예요. 다만 유일한 이유가 아니었기에 앞서 두 가지 다른 요소들을 집어드렸어요. 기한 후 신고 자체의 내용은 아무 문제가 없어도 법정신고기한을 지나고 신고한다는 자체에 가산세가 붙습니다. ✅무신고가산세: 무신고 납부세액의 20% ✅납부 지연가산세: 미납, 미달 납부세액 x 미납 기간 1일당 0.022%* *2022년 세법 시행령으로 변경. 영 시행 전 기간에 대한 부과분은 기존 세율(0.025%) 적용 ✔️기한 후 신고하면 가산세 감면된다는데?📉 기한 후 신고로 감면되는 가산세는 첫째, 무신고가산세액에 대한 경감이며 둘째, 신고기한으로부터 얼마나 빨리 신고하느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1개월 이내 기한 후 신고 시 50%를, 2~3개월 이내라면 30%, 4~6개월 이내엔 20%가 감면되죠. 하지만 정기 신고를 하는 분들은 감면을 적용할 가산세 자체가 발생하지 않아요. 최대한 빨리 기한 후 신고를 하면 가산세가 적어지지만, 그래도 아까운 건 매한가지! 5월이 지나기 전에 아니, 5월 중 최대한 빨리 종합소득세 정기 신고를 마치시길 바랄게요.🗓️ 도움이 되었습니까? 예 아니요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 도움말에 대한 의견은 여기에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