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 적금에 붙은 이자 세금, 안 내는 방법은?(ft. 비과세)

예금 적금에 붙은 이자 세금, 안 내는 방법은?

(ft. 비과세)

예금이나 적금을 들어두는 이유는 단 하나예요. 바로 목돈 마련. 내가 매달 넣은 금액에 이자까지 지급해 주기 때문에 목돈을 만드는데 유용한 아주 기본적인 방법으로 활용되는데요. 만기일 날 확인한 금액이 당초 은행에서 얘기했던 금액보다 적었던 경험 다들 있으실 거예요. 그 이유는 아주 간단해요. 이자로 발생한 소득에 세금이 부과되었기 때문! 이자에도 세금이 붙는지 몰랐던 분들은 꽤 당황하실 텐데요. 예금이나 적금 이자에서 얼마만큼의 세금을 내야 하는지, 또 가능하다면 안 낼 수 있는 방법은 없는지 함께 알아볼게요.

 

예금_적금_이자_소득_세금_비과세_통장_직사각.webp

 

예금 적금 이자도 소득이라고?

​네 맞아요. 예금이나 적금에서 발생하는 이자도 소득에 해당해요. 정확히 말씀드리면, 예금·적금 이자는 소득세법상 "이자소득"이라는 별도의 소득 유형으로 분류되죠. 사업소득이나 근로소득, 기타소득과는 구분되며, 금융기관에 예치한 금액에서 발생하는 이자가 바로 이자소득이랍니다.

​이 이자소득은 원천징수(은행 등에서 자동으로 세금을 떼고 지급) 대상이고, 연간 이자소득(배당소득 포함)이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다른 소득과 합산해 종합소득세 신고까지 해야 해요. 

예금_적금_이자_소득_세금_비과세_통장1.webp

 

예금 이자 세금은 얼마나?

​예금이나 적금에 붙는 이자에도 예금 이자 세금이 부과돼요. 다만, 적용되는 세율과 비과세 혜택은 상품 종류와 금융기관, 그리고 가입 조건에 따라 달라요.

​일반적으로 시중은행 등 일반 금융기관의 예금·적금 이자는 이자 소득세 14% + 지방 소득세 1.4% = 15.4%의 세율이 적용돼 원천징수되는데요. 예를 들어, 1년간 40만 원의 이자를 받았다면 약 6만 1,600원이 세금으로 빠지고, 실수령액은 약 33만 8,400원이 되는 셈이랍니다. 

예금_적금_이자_소득_세금_비과세_통장2.webp

 

예금 이자 세금, 안 낼 순 없을까?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예금 이자 세금을 전혀 안 낼 수 있는 방법은 없어요. 모든 소득에는 세금이 붙듯이, 이자 역시 엄연한 소득으로 분류돼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예외적인 방법을 있어요. 바로, 비과세나 세금 우대 상품을 활용하는 거죠. 나라에서 시행하는 상품들을 몇 가지 소개해 드릴게요. 해당하는 분들이 있다면 적극 활용해 보세요.

1. 청년형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만 19~34세의 일정 소득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상품이에요. 청년형 ISA의 비과세 한도는 연 1,000만 원(5년간 최대 5,000만 원)까지로, 일반형(500만 원) 대비 두 배예요.

​연간 납입 한도는 연 4,000만 원으로, 5년간 최대 2억 원까지 납입할 수 있죠. 예금, 펀드, ETF, 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요.

​​

2. 서민형 ISA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의 근로자가 들 수 있는 상품이에요. 이 상품 역시 3년 이상 유지 시 연 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답니다.

​총 급여 5,000만 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금액 3,500만 원 이하의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거주자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으며, 청년, 무직자, 대학생 등 소득이 없어도 가입할 수 있어요.

예금_적금_이자_소득_세금_비과세_통장3.webp

 

3. 농어민 비과세 예금

농업 경영체에 등록한 농업·어업 종사자에게 이자 전액을 비과세하는 상품이에요. 연 3,000만 원, 최대 2억 원 한도로 비과세 혜택을 받아 볼 수 있어요.

4.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내 집 마련을 준비하는 청년층에게 우대금리, 비과세, 소득공제, 청약 및 대출 연계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하는 상품이에요.

​만 19세~34세의 무주택 청년(세대주 여부와 관계없이 본인만 무주택이면 가입 가능)이 가입 대상이죠. 단, 연 소득 5,000만 원 이하(근로·사업·기타소득 모두 포함)의 소득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본인이 세대주이면서 세대원 전체가 무주택일 경우, 가입 후 2년 내 비과세 신청을 하면 돼요. 여기에 무주택 세대주이면서 연 소득 7,000만 원 이하라면 매년 소득공제도 받을 수 있어요. 단, 중도해지 시 우대금리, 비과세, 소득공제 혜택 일부가 소멸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라요.

예금 적금에 붙는 이자, 기대했던 것보다 적은 금액이 들어왔더라도 놀라지 마세요.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이 원천징수된 거거든요. 만약 예금 이자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 비과세 상품을 원한다면 오늘 알려드린 비과세 금융상품을 활용해 보시기 바라요. 오늘 알려드린 것 외에도 비과세 상품의 종류와 형태는 다양하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 금융기관에 문의해하시기 바랍니다.

BASIC.png

 

-해당 콘텐츠는 2025.6.2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인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 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