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달, 한 분기 그리고 한 해 동안 얼마큼의 돈을 버는가는 모든 분들에게 중요한 일이에요. 재테크나 절세에 관심이 큰 분들이라면 이에 못지않게 한 해간 내야 하는 세금이 얼마인지도 관심사이죠.
급여는 늘 정해진 금액을 받든, 조금씩 다른 금액을 받든 마음만 먹으면 금세 계산을 할 수 있지만, 세금은 아닌데요. 과세기간에 벌어들인 총소득에 따라 적용되는 세율도 달라지고, 각종 공제까지 겹치면 급여보다 훨씬 더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거든요.
올해도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세금을 내야 하는데, 얼마나 내야 하는지 감이 잘 잡히지 않으신가요? 삼쩜삼이 2022년 과세표준과 세율을 알려드리고, 대략적인 계산 흐름도 말씀드릴게요.
<2022년 적용 소득세율>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 |
1,200만 원 이하 | 6% | - |
1,200만 원~ 4,600만 원 이하 | 15% | 108만 원 |
4,600만 원~ 8,800만 원 이하 | 24% | 522만 원 |
8,800만 원~1억 5,000만 원 이하 | 35% | 1,490만 원 |
1억 5,000만 원~3억 원 이하 | 38% | 1,940만 원 |
3억 원~5억 원 이하 | 40% | 2,540만 원 |
5억 원~10억 원 이하 | 42% | 3,540만 원 |
10억 원 초과 | 45% | 6,540만 원 |
최종세액, 간단하게 나오지 않아요
한 번이라도 종합소득세 신고를 했거나 삼쩜삼을 이용해 본 적 없는 분들은 세금신고가 만만치 않다는 걸 경험했을 거예요. 상대적으로 사업소득 규모가 크지 않은 프리랜서들은 셀프 신고를 하기 때문에 더더욱 문턱이 높게 느껴지죠.
앞서 나온 과세표준표를 참고해 해당 구간에 맞는 세율을 적용하는 걸로 끝!이라면 정말 좋을 텐데요. 아쉽게도 꼭 그렇지만도 않아요.
다행히 별도 표기된 누진공제액 덕분에 계산이 수월해지는 건 사실인데요. 김점삼 씨를 예로 들어 올해 낼 세금이 얼마인지 미리 계산해 볼까요?
한 달 300만 원 벌면 세금 얼마?
세금 계산 미리보기: 김점삼 씨의 사례
<Profile> 이름: 김점삼 직업: 프리랜서 투잡 여부: X(근로소득, 기타소득 X) 월평균 소득: 약 300만 원 |
아주 간단하게 표현된 프로필을 활용해 종합소득세를 계산할 텐데요. 김점삼 씨의 한 해 종합소득금액은 3,600만 원이에요. 여기에 본인 기본공제 150만 원을 적용해서 나오는 과세표준은 3,450만 원이죠.
300만 원 x 12개월 = 3,600만 원
3,600만 원 - 소득공제(본인 기본공제) = 3,450만 원
3,450만 원 x 세율 15% = 4,095,000원
4,095,000원 - 7만 원 = 4,025,000원
=결정세액: 4,025,000원
과세표준 3,450만 원에 알맞은 세율은 '1,200만 원~ 4,600만 원 이하' 구간인 15%이에요. 여기에 누진공제 108만 원과 표준세액공제 7만 원을 적용하면 결정세액 값이 나옵니다.
다만, 이 예시의 경우 배우자, 부양가족이나 연금보험료, 경비, 기타 보험료 등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최소한으로 반영한 결과라는 걸 참고하셔야 해요.
삼쩜삼의 경우 자료제공 동의 절차를 거쳐 부양가족의 소득 및 세액공제 자료 조회가 가능해요. 간편하게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수 있죠.
소득세 부담 줄여줄 투자 제도는?
· 투융자 펀드 투자자 세제지원
· 뉴딜 인프라 펀드 투자자 세제지원
연간 2천만 원을 넘는 금융 소득에는 누진세율이 적용되는데요. 이때 원천징수는 별도로 종합소득과 합산하기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엿보여요.
투융자 펀드(1억 원 한도)와 뉴딜 인프라 펀드(2억 원 한도) 투자자는 각각 14%, 9% 원천징수만으로 납세의무가 종결되는 세제지원 제도가 신설되었어요. 두 지원 모두 2021년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지급받는 소득분까지 적용된답니다.
원래 세금보다 많이 낸다고?(feat.가산세)
모든 납세자가 의무적으로 납부해야 하는 세금. 정당하게 얻은 소득에 붙는다고 알고 있는데요. 사실 나의 소득과 상관없이 무조건 부과되는 세금도 있어요.
게다가 조금 억울하기까지 하죠. 바로 납세의무를 성실하게 지키지 않았을 때 생기는 '가산세'입니다.
고의적으로 서류를 조작하여 환급을 더 받는 부정과소신고를 제외하고, 일반적인 실수로 기간을 놓치거나 과소신고한 경우의 가산세를 알려드릴게요.
일반무신고: 무신고 납부세액 x 20% 일반과소신고: 일반과소신고납부세액 x 10% 납부지연: 경과 1일당** 0.025% 환급 불성실: 초과환급세액 x 경과 1일당** 0.025%
**환급받은 날의 다음날~자진납부일(또는 납부고지일) |
올 한 해 소득세로 얼마를 내야 하는지 궁금해하는 것은 곧 환급세액이 얼마인지 확인하는 것과 같은 뜻이에요. 이미 낸 세금보다 내야 할 세금이 더 적다면 그만큼 돌려받으니까요.
삼쩜삼으로 예상 환급액을 무료로 조회했을 때 금액이 뜬다면? 낼 세금은 있었지만 여러 공제를 반영해 돌려받을 금액이 더 많다는 의미겠죠.
올해도 삼쩜삼으로 종합소득세 신고하고 받아야 할 세금은 모두 돌려받는 뿌듯한 한 해로 만들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