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 및 공제율(헬스장, 수영장 포함)

연말정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 및 공제율

(헬스장, 수영장 포함)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으로 빼놓을 수 없는 이것. 바로 문화비 소득공제죠. 영화, 공연,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쓴 비용을 일정부분 공제해 주는 건데요. 오늘은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과 공제율, 그리고 내년부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에 포함될 체육시설 이용료에 대해서도 알아볼게요.

문화비_소득공제_항목_공제율_업체_찾기_체육시설_헬스장_수영장_직사각.webp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는 [조세특례제한법 제126조의2]에 의거해 근로자가 지출한 문화비를 한도 내에서 일정 비율로 공제해 주는 제도를 말해요. 이 금액은 신용카드 등 사용액에 포함돼 소득공제를 받지만, 일반적인 신용카드 사용액에 비해 공제율이 높아 연말정산 시 절세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게 된답니다.​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

​문화비 소득공제는 대표적으로 도서, 공연 티켓, 신문 구독료, 박물관 입장료, 미술관 등 관람료가 있어요. 여기에 2023년 7월부터는 영화티켓 결제 비용도 추가돼 공제 폭이 넓어졌죠.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

  • 도서
  • 공연
  • 박물관
  • 미술관
  • 신문
  • 영화

문화비_소득공제_항목_공제율_업체_찾기_체육시설_헬스장_수영장1.webp

여기서 문화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은 내가 문화비로 지출한 사업장이 반드시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된 사업자가 운영하는 곳이어야 하는데요. '그걸 어떻게 일일이 확인하나' 궁금하실 수 있어요.

​만약 문화비로 지출한 곳이 한국문화정보원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인지 궁금하다면 문화비 소득공제 홈페이지에서 지역별로 조회할 수 있어요. 아래 순서를 따라 홈페이지에 접속하셔서 지역별로 테마별로 소득공제 대상 사업장를 찾아보시기 바라요.​

문화비_소득공제_항목_공제율_업체_찾기_체육시설_헬스장_수영장.webp

@문화비소득공제 홈페이지

 

문화비 소득공제율

​문화비로 쓴 비용은 신용카드 등 사용액에 포함돼요. 신용카드 등 사용액으로 지출한 비용이 총 급여의 25%를 초과하면 그 초과분부터 소득공제 대상에 해당되는데요. 결제 수단별로, 결제처별로 공제율이 조금씩 달라요.

​한 가지 알아두어야 할 건 문화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소득기준이 존재한다는 거예요. 문화비 소득공제는 총 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자에게만 해당하는 혜택으로 총 급여가 7천만 원을 초과한다면 소득공제 혜택을 볼 수 없어요.

결제수단 및 사용처 소득공제율
신용카드 15%
체크·선불카드, 현금영수증 30%
도서, 신문, 공연, 박물관, 미술관 사용분 30%(총 급여 7천만 원 이하 근로자만 해당)
전통시장, 대중교통 사용분 40%
*한도: 300만 원

위 표에서도 알 수 있듯이 문화비 소득공제율은 사용금액의 30%로, 일반적인 신용카드 사용액 소득공제율에 비해 높은 편이에요. 그러니, 문화비로 지출한 금액이 있다면 꼭 소득공제 항목에 포함시켜야겠죠?

Q. 문화비 소득공제받으려면 뭘로 결제해야 하나요?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 온라인 결제, 상품권 결제 모두 가능해요. 일부 지역은 지역화폐로 결제한 문화비도 소득공제받을 수 있고요. 다만, 문화비 소득공제 사업자가 등록한 결제방법 내에서만 소득공제가 가능하다는 사실도 알아두시기 바라요.(일부 지역화폐, 간편결제, PG사의 경우 문화비 소득공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문화비_소득공제_항목_공제율_업체_찾기_체육시설_헬스장_수영장2.webp

 

내년부턴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가능해요

​문화비 소득공제 제도가 처음 시행된 2018년에는 그 항목이 도서, 공연 티켓 비용으로 매우 제한적이었어요. 그러다가 2019년 박물관 미술관 입장료가 추가되었고, 2021년에는 종이신문 구독료, 2023년에는 영화티켓 결제 비용이 추가되며 점차적으로 그 폭이 넓어졌죠.

​그다음 순서로 2025년 7월 1일부터 지출한 체육시설 이용료도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에 포함될 예정이에요. 헬스장, 수영장 등 체육시설에서 사용한 금액의 30%를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받을 수 있는 거죠. 단, 1:1 맞춤 운동 비용 즉, PT 등의 강습 비용은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돼요.

문화비_소득공제_항목_공제율_업체_찾기_체육시설_헬스장_수영장3.webp

이제 문화비는 일상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지출 비용이 되어버렸어요. 그중 일상이 바쁜 현대인들에게 건강한 삶을 위한 체육시설 이용은 어찌 보면 꼭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죠. 내년부턴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도 가능하다니 조금은 부담 덜어낼 수 있겠죠? 그 외에도 오늘 알려드린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 공제율 잘 숙지하셔서 공제 놓치는 일 없도록 하세요.

 

블로그 띠배너 - OFFICE.png

 

- 해당 콘텐츠는 2024.12.26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재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