납부|종합소득세 왜 납부해야 하나요? ◼︎ 납부여도 정기신고를 해야하는 이유! 정부는 국민이 납세의 의무를 제대로 이행하도록 ‘가산세’라는 불이익을 적용하고 있어요. 정해진 기한 내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지 않거나, 납부 금액을 제때 내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불편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가산세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뉘어요: 무신고 가산세: 신고하지 않은 경우. 납부 지연 가산세: 신고 후에도 납부를 미룬 경우. <종합소득세 무신고 미납부 가산세> 종류 부과 사유 가산세액 종합소득세 무신고 가산세 일반 무신고 무신고 납부세액×20% 일반 무신고(복식부기 의무자) ① 무신고 납부세액×20%② 수입 금액×0.07% 부정 무신고 무신고 납부세액×40%(국제거래 수반 시 60%) 부정 무신고(복식부기 의무자) ① 무신고 납부세액×40%(국제거래 수반 시 60%),② 수입 금액×0.14% 종합소득세 납부 지연 가산세 미납 또는 미달 납부 미납·미달납부세액×미납기간×0.022%※ 미납기간: 납부기한 다음날~자진 납부일(납세고지일)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어요. 1. 소득세 추징액이 더 커질 수 있어요.직접 신고하지 않으면 국세청이 '기준경비율’이라는 방식으로 소득을 임의로 계산해 세금을 부과해요. 이 방법은 납세자에게 가장 불리하기 때문에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할 가능성이 높아요. 2. 건강보험료가 올라가요.종합소득세를 신고하지 않으면 경비를 인정받지 못해 소득이 실제보다 높게 계산될 수 있어요. 소득이 높게 잡히면 건강보험료도 덩달아 올라가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어요. 3. 대출과 근로장려금 신청이 어려워져요.은행은 대출 심사 시 소득 증빙 자료를 요구해요. 신고하지 않으면 소득이 없는 것으로 간주돼 대출이 어려울 수 있어요. 또한, 근로장려금은 근로소득이 있는 사람에게 지급되는데, 소득 신고가 없다면 근로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돼 신청이 제한될 수 있어요. 도움이 되었습니까? 예 아니요 0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