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감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삭제하는 방법(ft. 의료비 등)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삭제 방법

 

지난 15일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가 개통됐어요. 간소화자료 일괄제공 서비스가 도입되면서 연말정산은 그 절차가 훨씬 간결해졌어요. 근로자가 회사로 일괄제공 동의(확인)만 하면 근로자의 간소화 PDF 자료를 회사에서 일괄적으로 내려받을 수 있게 됐거든요. 그런데 이 자료가 회사에 공개되는 만큼 민감한 정보는 공개하고 싶지 않을 수 있어요. 다행히 이런 자료는 쏙쏙 골라 삭제할 수 있는데요. 오늘 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연말정산간소화_민감한_자료_삭제하는_방법_홈택스_직사각.jpg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조회’ 해보세요

 

연말정산 간소화란 근로자가 연말정산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예요. 이전에는 연말정산 자료를 준비하게 위해 은행이나 병원 등 증명서류 발급기관에 직접 방문해 서류를 발급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요. 이런 수고를 줄이기 위해 국세청에서 영수증 발급기관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해 홈택스를 통해 직접 제공해 주는 형태로 간소화된 겁니다.

 

이때,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의 자료 조회를 통해 본인과 부양가족의 소득, 세액공제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어요.

  • 로그인 → 연말정산 간소화 → 소득·세액공제 조회/발급 화면 이동

위 경로를 통해 접속한 후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항목별 소득·세액공제 자료를 꼼꼼히 살펴보세요. 단, 살펴보는 걸로 끝나선 안돼요. 여기서 조회되지 않는 자료, 삭제하고 싶은 자료를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답니다.

 

연말정산간소화_민감한_자료_삭제하는_방법_홈택스1.png

 

 

잠깐!

조회되지 않는 자료는 어떻게 공제받죠?

 

연말정산 간소화에 조회되지 않는 자료가 있다면 해당 영수증 발급기관(ex. 의료기관)에 국세청 제출 여부를 문의하셔야 하는데요. 자동차보험이나 의료비 등 일부 조회되지 않는 간소화 자료는 18일까지 추가로 제출받아 20일부터는 확정된 자료를 조회할 수 있어요. 그러니 공제 내역을 지금부터 꼼꼼히 살핀 후 빠진 부분은 보완해 주세요. 귀찮다고 그냥 넘기면 여러분의 연말정산 환급액이 그만큼 줄어드는 거거든요.

 

추가자료 준비와 제출에 관한 일정은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 후 정해진 기간을 놓치지 않도록 알람을 설정해 두세요. 회사일에 치이다 보면 순간 일정을 놓쳐버릴 수도 있으니까 말이죠.

 

👉🏻연말정산 기간, 직장인이 해야 할 일 체크리스트

 

연말정산간소화_민감한_자료_삭제하는_방법_홈택스3.jpg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삭제하고 싶다면?

 

앞서 얘기한 것처럼 연말정산 간소화 자료에는 근로자가 회사 측에 보여주고 싶지 않은 민감한 정보까지 포함돼 있어요. 특히나 병원 기록은 더욱 프라이빗한 부분이라 연말정산 의료비 삭제를 원하는 분들이 많죠. 회사 방침상 어쩔 수 없이 일괄제공 서비스를 신청하고 동의를 했다면, 꼼짝없이 민감 정보가 회사에 공개될 수 있어서 걱정인 분들도 많을 거예요.

 

그래서 국세청에서는 일괄제공에 동의한 근로자라고 해도 민감한 정보는 제외하고 전달될 수 있도록 조치해두었어요. 바로 소득·세액공제 자료 삭제를 통해서 가능한데요. 앞서 말씀드린 연말정산 의료비 삭제도 여기서 할 수 있어요. 아래 경로를 통해 접속하면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삭제를 할 수 있답니다.

  • 로그인 → 연말정산 간소화 → 소득·세액공제 자료 삭제 화면 이동

 

연말정산간소화_민감한_자료_삭제하는_방법_홈택스2.png

 

크게 공제 항목별, 발급기관별, 개별 건별 세 가지 방법으로 삭제 신청을 할 수 있는데요. 가장 간편한 방법은 ‘개별 건별 삭제 신청’일 거예요. 공제 항목별 삭제 신청은 삭제할 공제 항목을 통째로 삭제하는 방법이며, 연말정산 의료비 삭제 시 발급기관별 삭제 신청을 하기 위해선 삭제하고자 하는 발급기관의 사업자등록번호를 알아야 하거든요.

 

하지만 개별 건별 삭제 신청은 조회된 자료를 선택 후 삭제 신청을 눌러주기만 하면 돼서 비교적 수월하게 민감함 자료를 삭제할 수 있답니다. 개별 건별 삭제 신청을 누른 후 자료 공제 항목을 선택하면 삭제자료가 자동으로 나오는데, 여기서 삭제하고 싶은 자료를 체크한 후 삭제해 주시면 됩니다.

 

 

삭제한 항목, 종합소득세 신고나

경정청구 통해 공제받을 수 있어요

 

민감정보를 삭제한 뒤에는 홈택스 내에서 복구가 되지 않고, 본인 로그인 시에도 조회되지 않아요. 삭제된 자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기관을 통해 다시 증빙자료를 발급받아야 하니, 이 부분을 염두에 두고 신중히 삭제해야 하죠.

 

하지만 실수는 늘 있는 법! 삭제한 항목에 대해 다시 공제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연말정산 기간이 끝나버렸으니 눈물을 삼키고 잊어야 할까요? 아닙니다! 다행히도 올해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공제를 신청하거나 경정청구를 통해 공제받을 수 있어요. 다만, 경정청구 등을 요청하는 증빙서류 준비는 필수겠죠?

 

연말정산간소화_민감한_자료_삭제하는_방법_홈택스4.jpg

 

 

실수하고 싶지 않다면

삼쩜삼에서 점검 또 점검!

 

연말정산 도통 뭐가 뭔지 모르겠고 공제 항목은 왜 또 이리 많은 걸까요? 연말정산 간소화자료를 봐도 눈앞이 캄캄하다면 삼쩜삼앱에서 한 번 점검해 보세요. 삼쩜삼에서는 여러분의 연말정산을 좀 더 쉽게 준비할 수 있는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거든요.

 

삼쩜삼앱에 접속 후 하단에 있는 아이콘들 중 연말정산 아이콘을 클릭하면 ✅ 환급액 조회는 물론, ✅ 공제 항목들도 보기 쉽게 정리돼 있어 빠진 부분을 체크하기 쉽답니다. 또한, ✅ 월세 현금영수증 등 '연말정산 서류 간편 발급'이 가능하답니다. 특히, 연말정산이 낯선 사회 초년생 여러분에겐 필수랍니다.

 

오늘은 회사에 전달되지 않았으면 하는 민감한 연말정산 간소화자료 삭제 방법에 대해 알아봤어요. 간소화 자료 전 꼭 기억해야 할 것! 한 번 삭제한 사항은 복원이 불가능하다는 사실! 그러니 삭제 전 신중, 또 신중하자고요!

 

블로그 띠배너 - OFFICE.png

블로그 띠배너 - 앱설치-1.png

 

​- 해당 콘텐츠는 2024. 01. 17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제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1명 중 1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