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비 확실하게 줄이는 방법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비 줄이는 방법 출퇴근러라면 익히 공감하시겠지만, 교통비 절대로 만만치 않아요. 최근에는 대중교통비도 슬금슬금 오르고 있어 출근길 발걸음이 무거워지고 있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알뜰살뜰 교통비 줄일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에 대해 소개해 드리려 해요. 더불어,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을 위해 지하철정기승차권/대중교통비 조조할인으로 교통비 절약하는 팁도 알려드릴게요. 📌 교통비 줄이는 3가지 정보를 담고 있어요! • 알뜰교통카드 정책 • 지하철 정기승차권 • 대중교통비 조조할인 알뜰교통카드 1) 알뜰교통카드 사용처 알뜰교통카드는 이동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는 형태인데요. 여기서 말하는 대중교통은 우리가 알고 있듯이 버스, 지하철 등이에요. 다만, 이 중에서 알뜰교통카드 사용이 제한되는 곳이 있답니다. 노선버스 : 마을버스, 시내버스, 광역버스(시외버스, 고속버스 제외) 도시철도 : 수도권, 부산, 대구, 광주, 대전(경전철 포함) 여객철도 : 광역철도(KTX, 새마을, 무궁화호 등 일반 철도 제외) 대중교통비라 하면 우리가 교통수단을 이용했을 경우에만 해당할 것 같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서 보행 또는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도 환산되는 거리에 포함이 된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친환경 교통수단 활성화 사업의 일환인 셈이죠. 2)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기준 첫번째, 마일리지 적립 거리 기준 마일리지 적립은 출발지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러 나오는 거리부터 해당이 돼요. 출발지에서 보행이나 자전거를 이용해 대중교통 승차 장소에 도착하면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대중교통으로 이동한 거리에 보행 또는 자전거를 이용해 도착지에 도착한 거리까지 포함되죠. 출발지~대중교통 승차장 이동 거리(보행 또는 자전거)+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이동 거리+하차장~도착지 이동거리(보행 또는 자전거) ⚠️보행 또는 자전거 이동거리는 대중교통 1회 이용 시 800m까지 인정됩니다. 두 번째, 대중교통 이용 횟수 어쩌다 한 두번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에겐 해당이 되지 않아요. 최소 월 15회 이상, 60회분에 대해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거든요. "그럼, 61회 이상부터는 마일리지 적립이 불가능한 걸까요? 너무 아까운데.. " 걱정 마세요. 61회 이상 이용분에 대해선 마일리지 적립액이 높은 순서대로 60회까지 익월이나 익익월에 지급된답니다. * 알아두세요! 월 15회 미만 사용시 마일리지는 소멸되나, 첫 달은 횟수와 무관하게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3) 알뜰교통카드 적립액 그럼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했을 때, 적립되는 마일리지 금액을 알아볼까요? 마일리지는 대중교통 이용금액으로 지급액이 결정돼요. 그리고 적립액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죠. [대중교통 이용금액 별 적립액(1통행 기준. 환승, 추가요금 포함 금액)] 마일리지 대중교통 이용 요금 2,000원 미만 2,000~3,000원 미만 3,000원 이상 기본 마일리지 최대 250원 최대 350원 최대 450원 만 19세~34세 청년 마일리지 최대 350원 최대 500원 최대 650원 저소득층 마일리지 최대 700원 최대 900원 최대 1,100원 [이동거리 별 적립액] 이동거리 800m 미만 800m 이상 기본 마일리지 이동거리에 비례 최대금액 지급 ⚠️환승 과정은 이동거리에 포함되지 않으며, 마일리지 지급액은 대중교통 이용요금의 최대 90%까지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4) 알뜰교통카드 사용 방법 알뜰교통카드 신청 > 알뜰교통카드 앱 다운 > 회원가입(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or 앱) > 알뜰교통카드 이용 알뜰교통카드도 일반 교통카드처럼 승하차 시 카드를 단말기에 태그해 주시면 돼요. @삼쩜삼 인스타그램. 알뜰교통카드 앱 ➕ 보너스! 추가 적립도 가능해요 1. 저소득층 마일리지 상향 지원 교통비로 3,000원 이상을 사용했다면, 최대 1,100원을 적립해 드려요.(서류 심사 통과 시 가능) 2. 환경 관련 기념일,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이라면 마일리지 2배! 환경부에서 미세먼지 저감 조치일로 발표한 날에 해당되며, 환경 관련 기념일과 미세먼지 주의보 발령일과 중복 지급되지 않아요. 지하철 정기승차권 알뜰교통카드 외에도 대중교통비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이 있어요. 지하철 출퇴근러라면 지하철 정기 승차권을 이미 이용하고 계신 분들도 많으실 거예요. 만약 버스 환승 없이 지하철로만 출퇴근, 통학한다면 지하철 정기승차권을 구매하는 게 좋은 방법이거든요. 지하철 정기승차권은 정기권 카드를 구입해 원하는 종류의 정기권 운임을 충전해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1회 충전 시 충전일부터 30일 이내 60회까지 사용할 수 있어요. 60회 기준으로 계산해 봤을 때, 일반카드와 비교해 대략 2만 원 정도를 할인받는 셈이죠. 서울 외 지역에서 지하철을 타는 경우라면, ‘거리비례용’ 정기권을 사용하면 돼요. 단, 사용 가능한 거리가 늘어날수록 정기권 비용 또한 비례해 늘어난다는 사실은 알아두면 좋겠죠? 종별 정기권 운임 교통카드 기준 운임 비고(이용구간 초과 시 추가 차감 기준) 1단계 55,000원 1,450원 이내 20km까지 마다 1회 2단계 58,000원 1,550원 25km까지 마다 1회 3단계 61,700원 1,650원 30km까지 마다 1회 거리비례별 운임은 9종으로 분류되어 있는데요. 지하철 정기승차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서울교통공사 바로 가기 시간대별로 할인받을 수도 있어요! 대중교통비 조조할인 이용하기 서울 버스와 지하철, 경기도 버스(마을버스 X)는 6시 30분 이전에 교통카드 태그를 찍으면 조조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환승 시 6시 30분이 넘었더라도 할인율은 그대로 유지돼요. 얼마나 할인되냐! 면요. 무려 기본요금의 20%예요. 일반형은 200원, 좌석형은 400원, 순환형은 450원이나 할인된답니다. 단, 대중교통 조조할인 교통카드를 이용할 경우에만 할인이 적용돼요. 이외에도 기차를 통해 장거리 통근을 하는 분들이라면 코레일 정기승차권을 구매하는 게 교통비를 줄이는 것도 합리적인 방법이랍니다. 코레일 정기승차권의 경우 무려 45~50%까지 할인을 받을 수 있거든요. 매일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들에겐 교통비 또한 매달 생각해야 하는 고정지출이에요. 정해진 급여 안에서 매달 나가는 고정 지출을 줄이고 싶다면 조금만 관심을 기울여 보세요. 생각보다 절약할 수 있는 방법들이 많답니다. 대중교통비 할인. 알뜰교통카드, 지하철 정기 승차권 등으로 각자의 상황에 맞게 똑똑한 이용하시기 바랄게요. - 해당 콘텐츠는 2023.07.31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제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예 아니요 1명 중 1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