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서 가장 쉬운 가계부 작성 가이드

쉽게 가계부 쓰는 법

 

주변에서들 흔히 ‘목돈을 만들려면 무조건 가계부를 써라’라고들 하죠. 그래서 “올해는 기필코 목돈을 만든다!”다짐하며 가계부를 사곤 했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금방 방구석에 처박히는 신세가 됐죠.

 

가계부 쓰기를 꾸준히 유지하지 못하는 이유는 뭘까요? 일단 가계부 쓰기가 쉽고,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오늘은 세상 쉬운 가계부 쓰는 법을 안내해 드릴 거예요. 사회생활 시작부터 알뜰하게 돈 관리해 보자고요!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png

 

 

STEP 1

가계부 작성의 목적 세우기

 

‘한 달 목표 저축액 : 100만 원’

‘연간 목표 저축액 : 1200만 원’

 

가계부는 단순히 기록의 용도가 아니에요. 내가 번 돈은 얼마인지, 또 얼마를 썼는지를 기록해서 한 달의 목표 저축액은 달성했는지, 더 줄일 수 있는 틈새 지출은 없는지 등을 파악하는 거죠.

 

지출이 많은 항목에 대해서는 다시 한번 꼼꼼히 따져보고 불필요한 지출이었다면 다음에는 이 항목에 대한 지출이 줄어들게 해야 하죠. 일단 본인이 가계부 작성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게 무엇인지 명확하게 생각해 보세요.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1.jpg

 

 

STEP 2

단순하게 시작하기

 

가계부를 쓸 때 여러분은 어떻게 지출을 기록하고 있나요? 마트에서 장을 본 후 일일이 식재료 항목을 기록하고 있었다면, 그렇게 하지 마세요. 이렇게 세세하게 쓰다간 쉽게 지치기 마련이니까요.

 

최대한 간단하고, 단순하게 쓰세요. 마트에서 장을 봤다면, 그냥 ‘식재료/총 금액’으로 지출 내용을 적으세요. 식재료/생활용품/온라인쇼핑/카페 등 대분류로 지출 내용을 적어놓으면, 이것만으로도 지출이 자주 발생하는 항목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어요. 생활 전반적인 지출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거죠.

 

처음에는 가계부를 매일 쓸 필요도 없어요. 매일 기록하는 데 공을 들이다 보면 '해야 할 일'이 되어 버려 부담을 갖게 될 수 있거든요. 주 1~2회라도 자신의 소비 패턴에 따라 가계부를 쓰되 가계부 쓰는 법에 익숙해졌을 때 기록 간격을 좁혀가면 돼요. 중간에 빼먹는 항목이 있더라도 일단 쓰는 데 집중하세요.

 

 

STEP 3

고정비와 변동비 구분해서 적정 예산 설정하기

 

집세나 공과금, 적금, 교통비, 보험료 등은 매달 정기적으로 나가는 ‘고정비’예요. 반면, 식비나 문화비, 여가비, 경조사비 등은 매달 금액이 달라지는 ‘변동비’죠. 일단 고정비와 변동비가 대략적으로 얼마인지 파악하고, 적정 예산을 설정해 보세요. 그리고 설정한 예산 안에서 소비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 보는 거예요.

 

여기서 포인트는 통장을 2개로 쪼개서 예산을 세워야 한다는 점! 통장 하나는 ‘변동비 지출 통장’, 나머지 하나는 ‘예산만큼 살 수 있도록 하는 통장’. 이렇게 해두면 예산을 초과하는 지출이 생겼더라도 ‘변동비 지출 통장’을 활용해 좀 더 유연한 생활이 가능하답니다.

 

하나 더! 변동비는 세 가지 기준으로 나눠서 관리해 보세요. 반드시 써야 하는 비용, 여러 번 고민 후 쓴 비용, 충동적 지출. 여러 번 고민 후 쓴 비용이나 충동적 지출에 대해선 반드시 피드백을 해주세요. 특히, 시발비용(스트레스를 받지 않았다면 쓰지 않았을 비용을 말하는 신조어)에 대해선 깊이 반성하고, 다음번 지출 시에는 되도록 자제하는 습관을 가져야 해요.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2.jpg

 

 

STEP 4

월말 가계부 결산하기

 

가계부의 꽃은 ‘결산’, ‘자기반성’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월말 결산을 통해 지난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 흐름을 파악해 보세요.

 

특히 본인이 설정한 예산 안에서 지출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알아보고, 만약 예산보다 지출을 많이 했다면 거기에 대해선 깊은 반성이 따라야 해요. 아니면, 지출이 많은 항목에 대해서는 다음 달 예산을 삭감하는 방법도 있고요.

 

이렇게 월말 결산을 통해 지출을 관리하다 보면, 서서히 지출액이 줄어들고, 지출이 줄어든 만큼 저축과 투자의 비중이 늘어날 거예요.

 

 

STEP 5

자산 현황 기록하기

 

월말 정산과 함께 한 가지 더 기록해야 할 게 있어요. 바로 ‘누적 자산 현황’이에요. 이번 달 수입은 얼마이고, 현금 자산은 얼마인지, 연금보험이나 적금 상품에 가입했다면 그 누적금액까지 차곡차곡 적어두세요.

 

처음엔 조금 힘들 수 있지만, 매달 가계부를 작성하다 보면 조금씩 누적되는 자산에 뿌듯함을 느낄 수 있을 거예요.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3.jpg

 

Tip. 가계부 선택 팁

 

가계부는 본인의 일상과 어울리고, 본인에게 가장 잘 맞는 것으로 선택하는 게 좋아요. 집에 있는 시간이 길고 직접 수기로 기록하고 싶다면 수기 가계부를, 컴퓨터가 익숙하다면 엑셀을, 외부 활동 시간이 길다면 어플을 이용해 보세요.

 

1. 수기 가계부

 

  • 장점 : 아날로그적. 엑셀이나 앱 활용할 때보다 ‘아차’ 싶은 품목들이 쉽게 눈에 띈다. 작성하면서 하루를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 단점 : 직접 써야 한다. 계산 역시 직접 해야 한다. 처음에 항목을 잘 나누지 못하면 꼬여버릴 수 있다.

 

2. 엑셀 가계부

 

  • 장점 : 검색을 통해 쉽게 가계부 양식을 찾을 수 있다. 입맛대로 양식을 고치고 다듬는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다. 직접 계산할 필요가 없다. 원하는 데이터를 한눈에 볼 수 있다.

 

  • 단점 : 엑셀이 어려운 사람에겐 벽이 높을 수 있다. 컴퓨터를 켜 작성해야 하므로 초기에 습관을 들이는 시간이 필요하다.

 

3. 어플 가계부

 

  • 장점 : 접근성이 좋고, 휴대하기 편하다. 지출할 때마다 바로바로 기록할 수 있어 시간관리에 매우 용이하다. 지출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어 지출 관리에 편리하다.

 

  • 단점 : 찾기 어렵다.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4.jpg

 

어때요? 머릿속으로 가계부 쓰는 야무진 내 모습을 그려보셨나요? 처음엔 가계부 쓰는 법이 누구나 익숙치 않죠. 하지만 습관을 들여 꾸준히 작성하다 보면 조금씩 지출이 줄어들고 저축이 늘어나 성취감이 쌓일 거예요. 그럼 가계부 쓰는 법! 다시 한번 기억해 볼까요?

 

  1. 가계부 작성의 목적 세우기
  2. 단순하게 시작하기
  3. 적정 예산 설정하기 (고정비, 변동비 구분)
  4. 월말 가계부 결산하기
  5. 자산현황 기록하기

 

사회생활을 시작할 때부터 가계부 쓰기라는 좋은 습관을 들여보세요. 위에서 알려드린 가계부 쓰는 법을 이용해 몇 년 후에는 그 누구보다 빛나는 저축액을 자랑할 수 있기를!

 

쉬운_가계부_작성_방법_목표_예산_누적자산_수기_어플_엑셀-2.png

 

- 해당 콘텐츠는 2023.02.14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제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19명 중 16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

어떤 부분이 아쉬웠나요?

도움말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