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연봉실수령액 계산 세상 쉽게 하는 방법

2023 연봉실수령액 계산하는 방법

 

‘근로계약서에 적힌 연봉은 4천만 원인데, 실제 받는 돈은 얼마나 될까?’ 모든 직장인은 월급에서 매월 일정액의 세금을 내요. 세금 항목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 보험,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세 이렇게 6가지가 있죠.

 

그래서 세전 연봉, 세후 연봉에는 크게 차이가 나기 마련인데요. 연봉 구간별로 이 세금이 달라져 연봉을 머릿속으로 계산해 보기가 쉽지 않아요. 오늘은 2023 내 연봉 실수령액이 어떻게 책정되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2023_연봉_구간_4대보험_근로자_사업주_실수령액_계산_삼쩜삼_연봉계산기.png

 

 

월급에서 떼어가는 세금부터 알아보자

 

우선 월급에서 4대 보험료로 나가는 금액을 알아볼게요. 4대 보험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있는데요. 직장가입자, 사업자 등에 따라 보험료율이 다르므로 아래 표를 참고해 주세요.

 

구분 보험료율 근로자 사업주
국민연금 9% 4.5% 4.5%
건강보험 7.09% 3.545% 3.545%
장기 요양 보험 0.91% 0.455% 0.455%
고용보험 1.8%+a 0.9% 0.9%+a
산재보험 업종별 보험료율 적용 - 전액 부담
합계 18.8%+a 9.4% 9.4%+a

 

여기에 회사가 근로자에게 매월 급여를 지급할 때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라 소득세를 원천징수하는데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조견표)(한글, excel 및 pdf 다운로드)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매달 떼는 4대 보험에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에 따른 소득세까지 차감해 월 실수령액을 계산하기란 쉽지 않아 보이죠? 그래서 2023 연봉실수령액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 봤어요.

 

<연봉 2천만 원 구간>

연봉 실수령액 공제 합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 소득세
21,000,000 1,570,060 179,940 78,750 62,030 7,940 15,740 14,080 1,400
22,000,000 1,643,733 189,600 82,500 64,990 8,320 16,490 15,730 1,570
23,000,000 1,717,407 199,260 86,250 67,940 8,700 17,250 17,390 1,730
24,000,000 1,790,550 209,450 90,000 70,900 9,080 18,000 19,520 1,950
25,000,000 1,863,243 220,090 93,750 73,850 9,460 18,740 22,090 2,200
26,000,000 1,935,937 230,730 97,490 76,800 9,830 19,490 24,660 2,460
27,000,000 2,008,220 241,780 101,250 79,760 10,210 20,250 27,560 2,750
28,000,000 2,080,893 252,440 105,000 82,710 10,590 21,000 30,130 3,010
29,000,000 2,151,737 264,930 108,740 85,670 10,970 21,740 34,380 3,430

 

<연봉 3천만 원 구간>

연봉 실수령액 공제 합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 소득세
30,000,000 2,219,240 280,760 112,500 88,620 11,350 22,500 41,630 4,160
31,000,000 2,287,213 296,120 116,250 91,570 11,730 23,250 48,480 4,840
32,000,000 2,355,207 311,460 119,990 94,530 12,100 23,990 55,320 5,530
33,000,000 2,422,220 327,780 123,750 97,480 12,480 24,740 63,030 6,300
34,000,000 2,490,183 343,150 127,500 100,400 12,860 25,500 69,870 6,980
35,000,000 2,558,157 358,510 131,250 103,390 13,240 26,240 76,720 7,670
36,000,000 2,624,710 375,290 135,000 106,350 13,620 26,990 84,850 8,480
37,000,000 2,692,683 390,650 138,750 109,300 14,000 27,750 91,690 9,160

38,000,000

39,000,000

2,758,347

2,823,080

408,320

426,920

142,500

146,250

112,250

115,210

14,370

14,750

28,490

29,240

100,650

110,430

10,060

11,040

 

<연봉 4천만 원 구간>

연봉 실수령액 공제 합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 소득세
40,000,000 2,887,813 445,520 150,000 118,160 15,130 30,000 120,210 12,020
41,000,000 2,952,567 464,100 153,750 121,120 15,510 30,740 129,990 12,990
42,000,000 3,014,610 485,390 157,500 124,070 15,890 31,490 142,220 14,200
43,000,000 3,079,343 503,990 161,250 127,020 16,270 32,250 152,000 15,200
44,000,000 3,144,097 522,570 165,000 129,980 16,650 32,990 161,780 16,170
45,000,000 3,208,840 541,160 168,750 132,930 17,020 33,750 171,560 17,150
46,000,000 3,267,423 565,910 172,500 135,890 17,400 34,500 186,930 18,690
47,000,000 3,331,187 585,480 176,250 138,840 17,780 35,240 197,610 19,760

48,000,000

49,000,000

3,391,990

3,455,743

608,010

627,590

180,000

183,750

141,800

144,750

18,160

18,540

36,000

36,750

210,960

221,640

21,090

22,160

 

<연봉 5천만 원 구간>

연봉 실수령액 공제 합계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 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 소득세
50,000,000 3,519,507 647,160 187,500 147,700 18,920 37,490 232,320 23,230
51,000,000 3,583,250 666,750 191,250 150,660 19,290 38,250 243,000 24,300
52,000,000 3,647,033 686,300 194,990 153,610 19,670 38,990 253,680 25,360
53,000,000 3,710,757 705,910 198,750 156,570 20,050 39,750 264,360 26,430
54,000,000 3,771,430 728,570 202,500 159,520 20,430 40,500 277,840 27,780
55,000,000 3,831,863 751,470 206,240 162,470 20,810 41,240 291,560 29,150
56,000,000 3,894,997 771,670 210,000 165,430 21,190 42,000 302,780 30,270
57,000,000 3,958,160 791,840 213,750 168,380 21,560 42,750 314,000 31,400

58,000,000

59,000,000

4,021,333

4,084,477

812,000

832,190

217,490

221,250

171,340

174,290

21,940

22,320

43,490

44,250

325,220

336,440

32,520

33,640

 

그런데 매번 ‘연봉 000만 원 실수령액’을 검색해 확인하기란 여간 번거로운 게 아니에요. 그래서 이런 번거로움을 줄여드리고자 삼쩜삼에서 ‘연봉계산기’를 만들었어요.

 

삼쩜삼 연봉계산기는 2023년 국세청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에 따라서 4대 보험, 소득세 등의 공제 항목 계산을 도와줘 한 번에 2023 연봉실수령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2023_연봉_구간_4대보험_근로자_사업주_실수령액_계산_삼쩜삼_연봉계산기.jpg

 

 

삼쩜삼에서 내 연봉 계산해 보기

 

1. 삼쩜삼 앱을 다운로드해, [연봉 & 실수령액 계산기] 클릭!

 

삼쩜삼_연봉_계산기1.jpg

 

2. 연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실수령액이 계산되어 나오고, 실수령액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연봉이 계산돼요.

 

이때 비과세/부양가족/자녀 정보/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대상자 여부를 입력하면, 자동으로 연봉과 실수령액이 계산돼요.

 

적용받는 비과세 수당은 급여 명세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고(최대 60만 원까지 입력 가능),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대상자 여부는 홈택스(or 모바일 손택스)에서 확인 가능해요.

 

선택 입력을 하지 않을 시,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보가 자동 입력됩니다.

- 비과세 10만 원, 부양가족 1명, 자녀 0명, 중소기업 소득세 감면 대상자 체크 해제

 

삼쩜삼_연봉_계산기2.jpg

 

삼쩜삼_연봉_계산기3.jpg

 

3. 입력한 정보를 기반으로 연봉과 실수령액을 확인 가능해요.

 

이때, 4대 보험과 소득세 금액도 함께 확인 가능해요. 또, 내 나이 또래의 평균 연봉과 비교해 내 소득 순위까지 확인할 수 있어요.

 

삼쩜삼_연봉_계산기4.jpg

 

지금까지 연봉실수령액 계산 세상 쉽게 하는 방법, 삼쩜삼의 ‘연봉 계산기’를 소개해 드렸는데요. 연봉 계산기로 쉽고 편하게 내 연봉과 실수령액도 계산해 보고, 내 소득 순위도 확인해 보세요!

 

[삼쩜삼 연봉계산기 이용하러 가기]

*연봉계산기는 삼쩜삼 앱에서 이용 가능합니다. ​

 

2023_연봉_구간_4대보험_근로자_사업주_실수령액_계산_삼쩜삼_연봉계산기-2.png

 

- 해당 콘텐츠는 2023.02.06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해당 콘텐츠의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를 참고 목적으로만 제공하고 있으며, 개개인의 상황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텐츠를 통해 취득한 일반적인 정보로 인한 직간접적 손해에 대해서 당사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자비스앤빌런즈, 무단 전제 및 배포 금지

 

도움이 되었습니까?

1명 중 0명이 도움이 되었다고 했습니다.